2024년 국군의 날 임시공휴일 지정 되었습니다. 9월 3일 국무회의를 통해서 의결이 되었는데 이로 인해 연차를 어떻게 쓰냐에 따라 일주일 내내 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의결되었지만 못 쉬는 곳도 있을 거 같습니다.
1. 국군의 날 임시공휴일
올해 국군의 날이 건군 76주년을 맞이해서 임시공휴일로 지정되었습니다. 국무회의를 통과 후 대통령의 최종적 확정이 필요합니다. 이미 대통령은 군 격려와 소비 진작 등의 차원으로 임시공휴일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의결(決議) :합의로 결정함 또는 그런 결정
이렇게 임시공휴일 의결되자 바로 네이버 달력은 적용되어 10월 1일 국군의 날이 빨간 날로 변경되었습니다. 10월 연휴가 1일 국군의 날, 3일 개천절, 9일 한글날로 3일이나 평일에 쉬게 되었습니다. 9월에는 추석도 있어 연달아 연휴가 많이 생겨 많은 사람들이 즐거운 연휴를 보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9월 30일, 10월 2일, 10월 4일에 연차를 쓰게 되면 징검다리 휴일을 더 잘 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군의 날 임시공휴일로 의결이 되었지만 안 쉬면 어떻게 될까요?
2. 임시공휴일 안 쉬면?
임시공휴일도 법적 공휴일처럼 쉴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임시공휴일에 안 쉬게 되면 일급 1.5배가 똑같이 적용이 됩니다. 직장인들에게는 아주 좋은 소식이지만 자영업 하시는 분들에게는 만약 웃을 수 있는 날은 아닙니다. 대신 연휴가 많으면 그만큼 소비가 늘어날 수 있기에 양면성이 있는 거 같습니다.
대신 5인 미만 사업장은 이야기가 좀 다릅니다. 임시공휴일이어도 안 쉬어도 상관은 없습니다. 누구는 쉬면 좋고 누구는 안 좋을 수 있지만 이미 정해진 거라 지혜롭게 해결해 나가면 좋을 거 같습니다.
국군의 날 임시공휴일 안 쉬면 안 되기에 법적 공휴일처럼 적용됩니다. 그렇기에 연차 잘 사용해서 잘 쉬면 좋겠습니다.
근로자의 날 안 쉬면 법적문제 있나요? 빨간 날 아닌 이유, 5인 이하 사업장
'알면 좋은 정보들 :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전 거주자 우편물 안 오게 하는 법 (주민센터방문) (0) | 2024.10.25 |
---|---|
문화누리카드 잔액조회 카드번호 비밀번호 변경 (8) | 2024.09.04 |
2024 추석 KTX 예매 일정 및 구매 방법 정리! (0) | 2024.08.13 |
기후동행카드 환급 신청, 대상, 환급 (티머니, 7000원) (0) | 2024.07.17 |
기후동행카드 청년 할인 등록 방법 55,000원 (분실/도난 서비스) 아이폰 실물카드 (0) | 2024.07.04 |